본문 바로가기

Furious Trauma/Personnel

Les Légions Noires, 횡설수설

항상 신경쓰지 않으면 주변의 공간이 스스로를 괴롭히게 되는 스타일인지라 정기적인 정돈은 필수적이다. 물론 그 대부분은 음반들이다(뭐 판돌이가 별 수 있겠나). 그러다 보면 참 괴이한 뮤지션들이 많았음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 그러면서, Les Légions Noires 출신 밴드들의 앨범들을 한 곳에 정리하면서 문득 생각한 점인데(물론 다들 공감할 만한 사실이다), 이 친구들, 참 이름 한 번 괴팍하게들 지었다는 것이다. Dzlvarv, Moëvöt, Vzaéurvbtre, Vrepyambhre 등. 나야 외국어에는 영 재능 없는 사람이지만, 그래도 이게 불어 이름이 아니라는 정도는 충분히 직감할 수 있다. 그러고 보면 Vlad Tepes 같은 밴드들이 참 점잖게 이름을 붙였던 셈이다. 물론 다들 음악은 대동소이하다. 많이들 아시다시피, 곡명이라고 저 이름들보다 상황이 나은 건 아니다. 괴팍한 한 친구는 저걸 언술, 내지는 언어의 카니발화라고 하더라. 물론 그 친구도 심각하게 생각하고 한 얘기는 아닐 것이다.

"희극의 가장 인기 있는 형태 중 하나는 소위 ''횡설수설(coq-à-l'âne)' 이라는 것이다. 이는 의도적으로 부조리한 언어의 조합의 장르이며, 모든 규범, 심지어는 기본적인 논리마저 무시하는 완전히 해방된 말의 형태이다. 이와 같은 언어적 부조리는 중세기 동안 광범위하게 퍼져 있던 것이었다.... (중략) .... 모든 기존의 언어들, 대상들, 생각들의 재편을 가져왔던 세계의 계급제가 급격히 무너져 내리고 새로운 개념이 정립되는 시기에, '횡설수설' 은 본질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 그것은 모든 논리적 연결에서의 일시적인 해방, 자유로운 재창조의 허용과 같은 것이다. 말하자면 언어의 카니발화와 같다..." (바흐친, "Rabelais and his world" 중)

'횡설수설' 이라니 바로 떠오르는 것은 바흐친의 저 글에서 보여지듯이 라블레는 물론이고, 몰리에르, 루이스 캐럴, 굳이 좀 근대에 가까운 예를 찾는다면 많은 다다이스트들, 정도가 해당될 듯하다(물론 나야 잘 모른다. 틀려도 별 수 없다는 얘기다). 어쨌든 이들이 대충 저 언어의 카니발화의 선구들이었다고, 치자. 물론 이들과 Les Légions Noires와는 사실 엄청난 차이가 있을 것 같다. 일단 느껴지는 것은 후대의 저 우울한 친구들보다는 선대의 작가들이 훨씬 긍정적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이 친구들은 라블레 등보다는, 후대의 다다이즘적인 그로테스크에 훨씬 가까워 보인다.

그리고 역시 내 생각이지만, 이 후대의 우울한 밴드들의 이름을 한 번, 그냥 나름대로 읽어 보매, 저 괴이한 알파벳들의 조합은 의외로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편이다. 그런 얘기도 들었던 적이 있다. 이를테면, 'sacrifice' 같은 단어가 왜 메틀 밴드의 이름으로 적합한지 말이다. 물론 'f' 같은 글자의 발음이 더 강렬하게 들린다는 뜻이었을 것이다. 물론 그 조합의 결과는 현대적이기보다는 원시적인 이미지에 가깝다(이 친구들의 사진만 봐도, 사실 모던 보이들은 절대 아니지 않은가). 말하자면 그 소리에 의미를 함몰시킨 경우에 가까운데, 뭐, 정말 이 친구들이 Magma 같은 경우처럼 자신들만의 언어를 만들어서 이런 식의 유희를 즐기는지는 모르지만, 즐긴다고 가정하고. 그렇지만, 'Vampyre' 같은 단어를 보면 사실 그 장난들도 참 소심하게 치고 있는 친구들인 셈이다. 어쨌든 이 친구들이 의미에서 자유로이, 순전히 소리만 가지고 장난을 칠 생각은 없었던 것 같다. 하긴 익스트림메틀처럼 언어 유희를 제대로 즐기기 어려운 장르도 별로 없을 것 같다. 갑자기 이 친구들이 정말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지가 조금은 궁금해진다. 아무래도 공부하기가 싫어서 이런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