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d Rags, 1995]
Symphony of Grief보다는 Wild Rags라는 레이블명이 더 유명할 것이다. 따지고 보면 Behemoth나 Blasphemy, Ritual, Sigh 같은 거물들의 앨범을 낼 수 있었으니 꽤 고르는 귀가 있었음은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지만 정작 이 레이블이 유명한 건 그 앨범들의 훌륭함 때문이 아니라 레이블 주인장의 바닥을 기는 경제관념 때문일 것이다. 뭐를 내더라도 돈 안 될 것만 골라서 냈으니 돈이 없을 건 이해가 간다만, 그렇더라도 Wild Rags만큼이나 돈 잘 떼먹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레이블은 없었던 것 같다. Blasphemy의 "Fallen Angel of Doom" 정도를 제외하면 이들이 발매한 앨범들 중에서 후일 재발매된 것도 거의 없는 건 그래서가 아니었나 생각한다. Symphony of Grief는 그렇게 치면 꽤 불쌍한 경우에 속한다. 하긴 Nuclear Death 같은 밴드들도 눈에 보이는데 Symphony of Grief가 눈에 들어오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이 필라델피아 밴드는 그렇게 넘기기에는 꽤 눈에 띄는 음악을 하던 밴드였다. 90년대 초-중반의 둠메틀과 데스메틀의 경계에 느슨하게 걸쳐 있는 음악을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리프나 보컬의 스타일(Goreaphobia에서는 돋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했었는데, 음악의 스타일에 맞지 않는 게 아니었나 생각된다)은 사실 초기 Incantation의 '음습한' 데스메틀을 떠올리게 하는 바가 있지만, Incantation보다는 좀 더 스트레이트함에 의존하는 면모가 있다. 그러면서도 드러머가 아니라 드럼머신을 이용한 사운드가 일반적인 데스메틀보다는 사실 Godflesh 같은 밴드를 떠올리게 하는 면이 있다. 아무래도 스트레이트하면서도 밴드의 음악에서 '음습함' 이 느껴지는 데는 그런 원인도 있다고 생각한다. 빠른 부분에서도 밴드의 연주는 템포가 빠르다는 점 외에는 일반적인 데스메틀의 컨벤션과는 좀 벗어나 있다.
덕분에 밴드의 사운드에서 일반적인 데스메틀 밴드 특유의 '빡빡함' 을 느끼기는 쉽지 않은데, 유감스럽게도 이 밴드가 Incantation 수준의 리프를 만들어낼 정도의 능력은 없는지라 리프만으로 빈 공간을 메꾸기는 어려웠던 것 같다. 밴드는 그런 '데스메틀로서의' 약점을 둠 메틀로 우회하여 해결하여 모습을 보여준다. 상대적으로 빠른 템포의 'Toth Amon/Your Fallen Domain' 이후에 이어지는 'Wars of Vengeance' 부터는 사실 어느 정도 슬럿지에 가까운 둠 메틀을 강하게 연상케 한다(Godflesh스러운 드럼머신 사운드도 이에 기여한다). 조금은 'spooky' 하게 느껴지는 신서사이저 소품인 'Spectral Voice' 도 뜬금없게 느껴지는 면도 있지만 'Immortal Fluids' 의 인트로처럼 이어지는지라 앨범의 완결성을 해치지는 않는다. 전체적으로는 둠적인 측면이 대단히 강한 '데스메틀' 앨범이지만, 생각보다는 좀 더 다채로운 모습을 가지고 있는 앨범일 것이다.
이런 류의 음악이 꼭 그렇게 낯선 건 아니다. 똑같지야 않지만 Autopsy나 Asphyx, Incantation같은 밴드들에게서도 그런 면모들을 조금씩 만나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물론 완결성은 이런 밴드들이 훨씬 낫다). 때문에 이제는 꽤나 비싸져 버린 이 앨범을 굳이 찾아서 들어봐야 한다고까지는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사실, 2014년이니만큼 이런 '90년대' 의 센스가 넘치는 음습한 데스메틀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특정 장르를 좋아하는 이들이 선호할 것이라고 말하기야 어렵겠지만, 무거운 사운드를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리프 자체만으로도 즐거울 것이다. 그런 앨범이라고 생각한다.
Symphony of Grief보다는 Wild Rags라는 레이블명이 더 유명할 것이다. 따지고 보면 Behemoth나 Blasphemy, Ritual, Sigh 같은 거물들의 앨범을 낼 수 있었으니 꽤 고르는 귀가 있었음은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지만 정작 이 레이블이 유명한 건 그 앨범들의 훌륭함 때문이 아니라 레이블 주인장의 바닥을 기는 경제관념 때문일 것이다. 뭐를 내더라도 돈 안 될 것만 골라서 냈으니 돈이 없을 건 이해가 간다만, 그렇더라도 Wild Rags만큼이나 돈 잘 떼먹기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레이블은 없었던 것 같다. Blasphemy의 "Fallen Angel of Doom" 정도를 제외하면 이들이 발매한 앨범들 중에서 후일 재발매된 것도 거의 없는 건 그래서가 아니었나 생각한다. Symphony of Grief는 그렇게 치면 꽤 불쌍한 경우에 속한다. 하긴 Nuclear Death 같은 밴드들도 눈에 보이는데 Symphony of Grief가 눈에 들어오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이 필라델피아 밴드는 그렇게 넘기기에는 꽤 눈에 띄는 음악을 하던 밴드였다. 90년대 초-중반의 둠메틀과 데스메틀의 경계에 느슨하게 걸쳐 있는 음악을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리프나 보컬의 스타일(Goreaphobia에서는 돋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했었는데, 음악의 스타일에 맞지 않는 게 아니었나 생각된다)은 사실 초기 Incantation의 '음습한' 데스메틀을 떠올리게 하는 바가 있지만, Incantation보다는 좀 더 스트레이트함에 의존하는 면모가 있다. 그러면서도 드러머가 아니라 드럼머신을 이용한 사운드가 일반적인 데스메틀보다는 사실 Godflesh 같은 밴드를 떠올리게 하는 면이 있다. 아무래도 스트레이트하면서도 밴드의 음악에서 '음습함' 이 느껴지는 데는 그런 원인도 있다고 생각한다. 빠른 부분에서도 밴드의 연주는 템포가 빠르다는 점 외에는 일반적인 데스메틀의 컨벤션과는 좀 벗어나 있다.
덕분에 밴드의 사운드에서 일반적인 데스메틀 밴드 특유의 '빡빡함' 을 느끼기는 쉽지 않은데, 유감스럽게도 이 밴드가 Incantation 수준의 리프를 만들어낼 정도의 능력은 없는지라 리프만으로 빈 공간을 메꾸기는 어려웠던 것 같다. 밴드는 그런 '데스메틀로서의' 약점을 둠 메틀로 우회하여 해결하여 모습을 보여준다. 상대적으로 빠른 템포의 'Toth Amon/Your Fallen Domain' 이후에 이어지는 'Wars of Vengeance' 부터는 사실 어느 정도 슬럿지에 가까운 둠 메틀을 강하게 연상케 한다(Godflesh스러운 드럼머신 사운드도 이에 기여한다). 조금은 'spooky' 하게 느껴지는 신서사이저 소품인 'Spectral Voice' 도 뜬금없게 느껴지는 면도 있지만 'Immortal Fluids' 의 인트로처럼 이어지는지라 앨범의 완결성을 해치지는 않는다. 전체적으로는 둠적인 측면이 대단히 강한 '데스메틀' 앨범이지만, 생각보다는 좀 더 다채로운 모습을 가지고 있는 앨범일 것이다.
이런 류의 음악이 꼭 그렇게 낯선 건 아니다. 똑같지야 않지만 Autopsy나 Asphyx, Incantation같은 밴드들에게서도 그런 면모들을 조금씩 만나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물론 완결성은 이런 밴드들이 훨씬 낫다). 때문에 이제는 꽤나 비싸져 버린 이 앨범을 굳이 찾아서 들어봐야 한다고까지는 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사실, 2014년이니만큼 이런 '90년대' 의 센스가 넘치는 음습한 데스메틀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특정 장르를 좋아하는 이들이 선호할 것이라고 말하기야 어렵겠지만, 무거운 사운드를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리프 자체만으로도 즐거울 것이다. 그런 앨범이라고 생각한다.